단일 종목 커버드콜 ETF 종류, 배당 구조, 투자 팁

커버드콜 ETF  종류, 배당 구조, 투자 팁
커버드콜 ETF 종류, 배당 구조, 투자 팁

“한 종목에만 투자하는데 매달 고배당을 준다고?”

최근 MSTY, MRNY, CONY 같은 단일 종목 커버드콜 ETF가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 특히 배당률이 연 100%를 넘나드는 경우도 있어, 투자자들 사이에서 ‘월급 통장’처럼 불리고 있죠.
하지만 이런 고수익 뒤에는 반드시 알아야 할 위험 구조배당의 진짜 원리가 숨어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한국 투자자들이 주목하는 주요 단일 종목 커버드콜 ETF의 종류, 배당 구조, 장단점, 투자 시 주의점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.


단일 종목 커버드콜 ETF란?

단일 종목 전략의 개념

단일 종목 커버드콜 ETF는 하나의 회사 주식만을 집중해서 투자하는 ETF예요.
쉽게 말해, “그 회사 주식을 들고 있으면서, 다른 사람에게 일정 가격에 팔 수 있는 권리를 파는 것”입니다.

  • 내가 테슬라(TSLA) 주식을 한 주 갖고 있다고 해요.
  • 어떤 사람이 “앞으로 1개월 후에 이 주식을 1,000달러에 살 수 있는 권리”를 원합니다.
  • 그 사람은 이 권리를 받는 대신 ‘프리미엄(옵션료)’이라는 돈을 저에게 줍니다.
  • 한 달 뒤에 주가가 1,200달러가 되면? → 그 사람은 저한테서 1,000달러에 사서 이익을 보고, 저는 주식이 비싸게 팔릴 기회를 놓쳤지만 대신 프리미엄(옵션료)을 챙긴 거예요.
  • 주가가 900달러로 떨어지면? → 그 사람은 권리를 쓰지 않고, 저는 주식을 그대로 가지고 있지만 주가가 떨어진 만큼 손해를 보죠.

커버드콜 ETF는 이렇게 주식 보유 + 콜옵션 판매를 통해 매달 옵션료를 받아 투자자에게 배당해 주는 구조입니다.


고배당 구조의 원리

그럼 왜 배당이 높을까요?
이건 옵션료(프리미엄) 덕분이에요. 변동성이 큰 주식일수록 옵션료가 높아요.

  • 성적이 들쑥날쑥한 친구가 있다고 해요. (주식 시장에서 변동성이 큰 종목)
  • 이 친구가 다음 시험에서 몇 점 맞을지 예측하기 어려우니, 친구 성적에 ‘내기’를 하려는 사람들이 많아요.
  • 그만큼 ‘내기 비용’(옵션료)이 높아지고, 이 비용이 투자자에게 배당으로 돌아옵니다.

즉, 테슬라처럼 주가가 많이 움직이는 기업을 기반으로 한 커버드콜 ETF는 옵션료가 많이 들어오니, 배당도 높아지는 거죠.
하지만! 주가가 많이 떨어지면 배당으로 받은 돈보다 손실이 더 커질 수도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위험입니다.


카테고리별 단일 종목 커버드콜 ETF

YieldMax

특정 기업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삼아, 매주 또는 매월 옵션 프리미엄을 받아 배당으로 돌려주는 ETF예요.

대표 상품들
아래는 주요 종목들을 기반으로 한 YieldMax ETF들이에요

  • TSLY (TSLA Option Income) – 테슬라
  • APLY (AAPL Option Income) – 애플
  • NVDY (NVDA Option Income) – 엔비디아
  • AMZY (AMZN Option Income) – 아마존
  • MSFO (MSFT Option Income) – 마이크로소프트
  • CONY (COIN Option Income) – 코인베이스
  • 외에도 META, GOOGL, NFLX 등 다양한 개별 종목 ETF 존재

왜 인기 있을까?
중학생도 알기 쉽게 설명하면:
마치 네가 아이스크림을 팔 때, “다음 달에 아이스크림을 지금 1,000원에 사겠다는 약속권”을 팔고, 그 약속권을 사는 사람이 미리 돈(옵션료)을 주는 것과 같아요. 이 돈을 매달 받는 거예요.


REX

REX Financial이 만든 단일 종목 커버드콜 ETF로, 특정 인기 주식 + 옵션 수입 전략을 결합했어요.

최신 상품들

  • NVDA 기반의 REX NVDA Growth & Income ETF (티커: NVII) — 2025년 5월 출시
  • 추가로 COIN (코인베이스), MSTR (마이크로스트레티지), TSLA (테슬라) 기반 ETF들도 2025년 6월 새로 등장

Harvest

캐나다 Harvest에서 만든 싱글 스톡 커버드콜 ETF로, **캐나다 거래소(TSX)**에 상장된 것들이에요. 월별 배당, 일부는 레버리지를 살짝 섞은 ETF들이 포함돼요

  • GOGY (Alphabet, 구글)
  • AMDY (AMD)
  • AVGY (Broadcom)
  • CNYE (Coinbase)
  • COSY (Costco)
  • MSTE (MicroStrategy)
  • NFLY (Netflix)
    외에도 추가 종목들이 있어요

추가 특징

  • 0.40% 수수료로 비교적 저렴하며,
  • 매월 배당,
  • 최대 50% 주식에 맞춰 옵션 매도 전략으로 구조가 설계되어 있어요

네가 좋아하는 장난감(예: 넷플릭스 주식)을 가지고 있으면서, “한 달 후 3000원에 살 수 있는 권리”를 남에게 팔고, 그 권리를 산 사람이 매달 그 돈을 주는 거예요. 그 돈을 받는 게 배당처럼 나오는 거죠.

시리즈주요 특징대표 ETF 예시
YieldMax인기 기업 기반, 주기적 옵션 판매 → 고배당TSLY, NVDY, CONY 등
REX특정 인기 주식 기반 + 주간 옵션 수익NVII (Nvidia), COII, MSII, TSII
Harvest (캐나다)캐나다 투자자 대상, 월별 배당, 레버리지 포함GOGY, CNCY, MSTE, NFLY 등

단일 종목 커버드콜 ETF 시리즈별 차별점

구분YieldMaxREXHarvest
운용사 & 시장미국 상장 / YieldMax Capital미국 상장 / REX Financial캐나다 상장 / Harvest Portfolios
배당 주기대부분 매월 (일부 주별)매주 지급하는 경우 있음매월 지급
전략 강도종목 100%에 옵션 매도종목 100%에 옵션 매도 (단기·고빈도)종목 50~75%만 옵션 매도 (부분 커버드콜)
대상 종목주로 빅테크·인기 성장주 (TSLA, NVDA 등)인기주 + 이벤트성 종목 (예: 실적 발표 직전 NVDA)캐나다/미국 우량주 다양하게 포함
리스크 프로필변동성 매우 높음, 수익·손실 폭 큼단기 옵션 거래로 변동성 더 큼옵션 비율 낮아 변동성 완화
레버리지 사용없음없음일부 Enhanced 버전은 1.25배 레버리지
수수료약 0.99% (높음)약 0.85~0.95%약 0.40% (낮음)
투자 난이도초고위험, 단기 수익 추구형초고위험 + 단기 매매 민감형중위험, 안정적 현금흐름 선호형

장단점과 리스크 비교

장점

  1. 고배당 수익 가능
    • 단일 종목 커버드콜 ETF는 일반 지수형보다 배당률이 훨씬 높아요.
    • 예: YieldMax의 일부 상품은 연 40~60% 수준의 배당률을 기록하기도 합니다.
    • 마치 한 달에 한 번 용돈을 받는 게 아니라, 매주 과외비를 받는 것처럼 현금이 자주 들어와요.
  2. 복잡한 옵션 전략을 간편하게
    • 옵션 매도는 직접 하려면 계좌 승인, 거래 지식이 필요하지만, ETF가 대신 해주기 때문에 투자자는 그냥 ETF를 사면 됩니다.
    • 집에서 직접 빵을 굽는 대신, 빵집에서 매일 구워주는 빵을 사 먹는 것과 같아요.
  3. 특정 종목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 활용
    • 테슬라, 엔비디아 같은 인기 종목이라면 투자자가 이미 잘 알고 있어서 심리적으로 편합니다.

리스크

  1. 상승 제한(상방 제한)
    • 콜옵션을 팔았기 때문에 주가가 크게 오르면, 그 이상의 수익은 못 가져갑니다.
    • “사과를 1,000원에 팔기로 약속”했는데, 갑자기 2,000원으로 올라도 1,000원에 팔아야 하는 상황이에요.
  2. 하락 방어력 한계
    • 옵션료로 주가 하락을 일부 방어하지만, 하락폭이 크면 손실을 피할 수 없습니다.
    • 비 오는 날 우산은 있지만, 태풍이 오면 옷이 젖는 건 막을 수 없는 것과 같아요.
  3. 변동성 리스크
    • 단일 종목은 지수보다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, 배당이 높아도 원금 손실 가능성이 큽니다.
    • 특히 테마성 종목은 실적·뉴스에 따라 주가가 급격히 움직입니다.
  4. 수수료 부담
    • YieldMax·REX는 연 0.85~0.99%로 수수료가 높은 편입니다. 장기 보유 시 배당 일부가 수수료로 깎입니다.

단일 종목 커버드콜 ETF는 고배당이라는 강력한 매력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
특히 YieldMax 시리즈처럼 연 40~60% 수준의 배당을 주는 상품은,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강력한 유혹이 되죠.

하지만 기억해야 할 점은 “고수익에는 반드시 고위험이 따른다”는 투자 원칙입니다.
주가가 급락하면 옵션료로 방어할 수 있는 범위는 한정적이며, 반대로 주가가 급등하면 수익이 제한됩니다.

이번 글에서 살펴본 것처럼, 시리즈별(⁠YieldMax, REX, Harvest)로 전략·수수료·위험도가 다르니,
자신의 투자 성향과 목표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FAQ

Q1. 단일 종목 커버드콜 ETF와 지수형 커버드콜 ETF의 차이는 무엇인가요?

A. 단일 종목 커버드콜 ETF는 특정 한 기업(예: 테슬라, 엔비디아)을 기초자산으로 하며, 해당 주식의 변동성이 커서 옵션료(배당)가 높습니다.
반면 지수형 커버드콜 ETF(QYLD, XYLD 등)는 여러 주식이 포함된 지수를 기반으로 해 변동성이 낮고, 배당률도 상대적으로 낮습니다.

Q2. 배당률이 40~60%라면 무조건 이익 아닌가요?

A. 아닙니다. 주가가 크게 하락하면 배당으로 받은 금액보다 손실이 커질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, 연 50% 배당을 받더라도 주가가 60% 하락하면 총손실이 발생합니다.

Q3. YieldMax, REX, Harvest 중 어느 시리즈가 더 안전한가요?

A. ‘안전’이라는 기준은 투자자의 성향에 따라 다릅니다.

  • 안정적 현금흐름 + 낮은 수수료 → Harvest
  • 초고배당 + 인기 빅테크 집중 → YieldMax
  • 단기 테마·이벤트 기반 수익 노림 → REX

Q4. 커버드콜 ETF는 주가 상승장에서 손해를 보나요?

A. 주가가 많이 오를 때, 콜옵션 매도로 인해 상승분이 제한되기 때문에 최대 수익을 얻지 못합니다.
하지만 대신 옵션료 수익은 꾸준히 확보할 수 있습니다.

Q5. 장기 투자해도 되나요?

A. 가능하지만,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장기 보유 시 주가 흐름과 시장 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.
특히 단일 종목 ETF는 기업 뉴스, 실적 발표에 따라 급등락이 심하니 주의하세요.